Sesonneun Orthopedic Hospital

Sesonneun Orthopedic Hospital

대퇴골두 골괴사증 (고관절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대퇴골두의 혈류장애로 조기에 고관절의 파괴를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
대부분의 경우 30대에서 50대의 비교적 젊은 연령에 발생, 인공관절 치환술 환자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진단되면 거의 대부분 인공관절 치환술을 받아야 할 정도록 심각한 질환
남성이 여성보다 3~4배 더 호발하며, 비외상성 대퇴골두 골괴사가 양측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50% 이상으로 보고 원인으로 외상이나, 혈관 내 응고, 음주나 스테로이드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

증상

- 질병의 초기에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
- 질병이 진행하면서 활동에 의해 서혜부나 둔부의 통증, 대퇴부로 뻗치는 느낌의 통증이 있을 수도 있음
- 병이 진행하게 되면, 휴식 시에도 통증을 호소하게 되는데 통증은 양측으로도 나타날 수 있음
- 골괴사가 진행되어 대퇴 골두의 함몰이 일어나게 되면 갑작스럽게 통증이 발생

진단

- 증상과 진찰 소견을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영상 검사를 진행
- 엑스레이로는 초기 이상소견이 보이지 않을 수 있으나 진행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적 소견을 관찰
- MRI는 병변의 침범부위 및 이환정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음
- 전신골주사 동위원소검사는 골 괴사증의 조기발견이나동반될 수 있는 다른 부위의 골 괴사증을 진단

치료

-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질병의 진행 시기
- 골두의 함몰이 심하지 않은 시기까지는 원래의 관절을 유지하는 방법을 시도
- 함몰이 심하고 더욱이 퇴행성 변화까지 있는 경우에는 인공관절 치환술 이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음
- 비구쪽 관절연골에 손상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에는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해 볼 수 있음

Sesonneun Orthopedic Hospital

대퇴비골충돌 증후군 (고관절 충돌증후군)

고관절을 내회전할 때 대퇴 경부와 비구 사이에 비정상적인 충돌이 발생하여 생기는 증후군
고관절의 조기 퇴행성 변화(관절염)까지 야기할 수 있는 질환
비교적 젊은 환자들의 고관절 통증과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으로 최근 들어 주목 받고 있음

증상

- 대부분 서서히 발생, 특히 운동 후, 계단을 오를 때, 장시간 앉은 후 주로 서혜부 통증을 느낌
- 초기에는 과격한 통증 이후 통증이 나타나나 병변이 진행하면서는 일상적인 동작에서도 통증
- 대부분의 환자들은 쪼그려 앉는 동작을 힘들어하는 것이 특징

진단

- 문진과 신체 진찰을 기본으로 엑스레이를 통해 대퇴비구 충돌을 야기하는 형태적 변형을 관찰
-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거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때는 CT, MRI등의 검사가 필요

치료

- 통증을 유발하는 활동을 제한하고 소염제 복용, 물리 치료 등을 우선적으로 시행
- 보존적 치료에 반응이 없고 영상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
- 수술 방법으로 관혈적으로 절개해 시행하기도 하며, 형태에 따라서는 관절경을 통해 수술적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