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onneun Orthopedic Hospital

Sesonneun Orthopedic Hospital

고관절 골절

고령자들은 고관절을 다쳐도 단순 허리통증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를 미루거나 참는 상황도 발생
이는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욕창·폐렴·패혈증 등 2차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 필요

고관절 골절의 위험성

- 심한 통증으로 인해 걷기는커녕 서 있는 것조차 어려우며 장기간 운동능력을 상실하게 됨
- 오랜 침상 생활로 몸을 움직일 수 없게 되면서 신진대사 기능이 저하되고 뇌졸중이나 심장마비, 폐렴, 욕창 등 다양한 2차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음
- 고관절은 다른 부위의 골절처럼 석고 고정 같은 보존적 치료를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령에 관계없이 수술이 필요로 함

고관절 골절의 치료방법

- 비교적 젊은 연령대에서는 부러진 부위를 맞추고 금속으로 고정하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음
- 하지만 고령층에서는 앞에 언급한 합병증들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조기보행을 위해 인공관절치환 술을 시행을 우선 고려하는 경우도 있음
- 환자의 골절 상태와 나이 등 수술 전 고려해야할 사항이 많아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를 통해 치료법을 결정하는것이 중요


고관절 골절 수술 이후의 재활치료

- 수술적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반드시 재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
- 재활 치료를 통해 손상 부위의 회복은 물론 최대한의 관절 기능 회복과 근골격계 기능을 강화하여 일상으로의 빠른 복귀를 도모할 수 있음
- 고관절 골절은 수술만큼이나 재활 치료가 중요하여 수술 후 재활·물리치료에 대하여 전문적인 병원을 찾는것이 필수적